2025/09/08 09:40
NextFly
도착 항공편 합계: 17,787
전년 대비 변화: +8.32%
사우디아항공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서아시아 전반의 성수기 수요에 맞춰 도착 운항을 확대했습니다. 해안 도시로의 레저 수요와 지역 간 비즈니스 수요가 안정적으로 이어지며 전체 흐름을 뒷받침했습니다. 단·중거리 노선의 공급 증대와 야간 시간대 파동형 스케줄 강화가 수요 흡수에 기여했습니다. 전년 대비 증가에는 지난해 여름 지역 일부에서 발생했던 운항 혼잡이 완화되어 일정 안정성이 높아진 점도 작용했습니다.
정시 도착률: 95.92%
전년 대비 변화(정시성): -0.15%
결항 편수: 99
전년 대비 변화(결항): -53.30%
정시 도착률은 95.92%로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무더위와 혼잡한 걸프 공역의 비행 흐름 관리 조치가 간헐적으로 시행되었음에도 전반적 운항 안정성이 확인되었습니다. 휴가철 고부하와 피크 시간대 지상 택싱 증가로 전년 대비 소폭 낮아졌습니다. 예비 기재 투입, 기재 로테이션 최적화, 지상 운용 버퍼 확대 등으로 결항은 크게 감소했습니다. 공항 및 지상 조업사와의 협업 강화는 국지적 기상 악화에 따른 연쇄 지연을 줄였습니다.
주요 허브는 서방향 장거리와 순례 수요를 담당하는 제다(JED), 정부·기업 수요와 증가하는 환승을 모으는 리야드(RUH), 에너지 산업 수요와 남아시아 연결을 지원하는 담맘(DMM)입니다. 이들 허브에서는 심야와 이른 아침의 파동형 뱅크를 통해 단거리 피더를 중·장거리 출발편에 최대한 연결하여 최소 환승시간과 항공기 활용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여객 입장에서는 사우디아항공가 7월 성수기에도 신뢰도 높은 운항과 폭넓은 지역 연결성을 제공합니다. 대기 승무원과 예비 항공기를 유지해 정시성을 높이되, 한낮 더위와 휴가철 혼잡으로 지상 체류 시간이 늘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항공사는 JED와 RUH의 뱅크 구조를 다듬고 셀프서비스를 확대하며, 공항과의 공조를 강화해 늦여름·가을 피크를 대비합니다. 서아시아 내 계절 노선과 수요가 높은 레저 노선의 선별적 증편을 통해 성장과 일정 안정성을 함께 추구합니다.